[빈센트 반 고흐] 창녀 출신 여성을 떠난 뒤의 화풍

창녀 출신 여성과 가정을 꾸렸던 헤이그에서 머무는 동안 고흐는 한 화가로서의 진로에 대해 깊이 생각했던 것 같다. 그 시기에 동생에게 쓴 편지에 그런 고민이 잘 드러나 있다. “테오. 내가 뭐가 되었든 형체가 될 만한 뭔가를 그린 풍경을 보고 있노라면, 난 분명 풍경 화가는 아니야…” 이 그림만 보더라도 풍경을 구성하는 여러…

더보기

[빈센트 반 고흐] 창녀 출신 여성과 살면서 힘든 점

빈센트 반 고흐에게 헤이그(The Hague)라는 도시는 창녀 출신 여성과 함께 살면서 그녀에게 달린 두 아이까지 부양해야 했던 지긋지긋한 곳이었다. 하지만 자신의 유화 기법을 숙성시킨 곳이기도 하다. 헤이그로 이주한 고흐는 짧은 기간을 그곳에서 보냈다(1883년). 에텐(Etten)에서 줄곧 수채화를 사용했던 그에게 있어서 이 새로운 도구로의 변신은 행복 그 자체였다. 유화에 대한 이 첫…

더보기

타임지 커버 10월 19일자

타임지가 트럼프 이름에 Covid를 붙여 Trump Covid White House라는 제목으로 10월 19일자를 내놓으면서 커버로 다음과 같이 쇼킹한 일러스트레이션을 올렸다. 언뜻 보기에 ‘백악관이 코비드의 주범이다’라는 듯한 인상을 가져오지만, 이 일러스트레이션을 소개하는 인스타그램에는 대략 다음과 같은 코맨트를 첨부하고 있다. 힘과 통치력에 집착하는 대통령은 아프고 연약한 노인일 따름입니다. 영원히 살 수 없는(a mortal),…

더보기

김구의 ‘임시 정부’는 왜 ‘임시’로 끝났나

‘임시 정부’ Vs. ‘임시정부’  ‘임시’라는 말은 명확한 기한을 정하지 않은 잠시 동안의 상태를 이르는 명사이다. ‘정부’라는 단어와 함께 쓸 때는 둘 다 명사이므로 띄어쓰기를 해야 하나, 그 임시 정부가 어떤 고유성을 띨 때에 한하여 그것은 ‘임시정부’라 붙여 써도 마땅할 것이다. 이 글은 이 문법적 고려를 가해서 쓴 글이다. 대한민국 임시…

더보기

김지하의 ‘오적’(五賊)과 ‘이 가문 날에 비구름’

김지하가 《오적五賊》을 쓴 나이는 29살이다. 《이 가문 날에 비구름》은 그로부터 42년 후에 낸 텍스트다(2012). 두 텍스트 간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이 차이를 어떤 이는 ‘변화’라 부르고 어떤 이는 ‘변절’이라 부른다. 변화는 무엇이고 변절은 무엇일까? 탐탁지 않은 사람들은 (오적이) ‘표절’이었다고 까지 폄훼한다. 지금은 탄핵당한, 한 여성 대통령을 지지했다는 이유에서다. 두 극점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