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즈트리’는 서울로7017 개장 기념 한시적으로 기획된 설치 예술이다. 최고 높이 17M에 길이는 약 100M에 달한다고 한다.
외부에 공개되면서 호불호가 엇갈리는 평이다. 아니, 악평 일색이다.
그러는 가운데 진중권 교수가 “예술은 왜 꼭 예뻐야 한다고 생각하냐, 흉물도 예술이 될 수 있다”고 말해 화제다. (참조: 17.05.26 오마이뉴스 기사)
그러면서 그는 “정크아트(Junk Art)는 원래 쓰레기를 가지고 뭘 만들어내는 예술”이라며 “그 전체적인 의미를 생각해 봐야 하는데 신발 하나하나를 보고 하는 수준의 얘기들을 받아적어 여론몰이를 하고 있다”고 했는데, 어이가 없어가지고 정크아트가 어떤 것인지 몇 점 소개할까 한다.
예술인가? 쓰레기인가? 예술과 쓰레기의 차이는 어떤 것인가?
정크아트란 말 그대로 Junk 즉 ‘쓸모없는 물건’, ‘폐물’, ‘쓰레기’로서 일상에서 발생한 잡동사니들을 오브제로 활용하는 미술을 말한다.
사실은 피카소의 큐비즘, 브라크의 파피에 콜레, 다다와 같은 콜라주에 기원이 있지만 정크아트의 진정한 의미는 2차세계대전 이후의 잔해나 현대 문명이 싸질러 놓은 폐기물을 재생한다는 의미로서 서구에서 등장했다.
널리 알려진 정크아트 작가로는 부서진 자동차 부품을 이용했던 챔벌레인(John Chamberlain),
폐기된 고철 금속이나 나무 등으로 거대한 구조물을 만든 수베로(Mark di Suvero),
폐가의 목재와 가구로 거대한 부조 작품을 제작한 네벨슨(Louis Nevelson),
포크, 나이프, 수저 같은 일상의 금속을 압축시켜 놓는 세자르(César Baldaccini)
그 외에도 자동차 폐차 부속으로 쌓아올리는 아르망(Arman), 아르망의 작품은 충청남도 천안에도 한 점이 제작되어 있다. 아래와 같이 탑으로 쌓아올린 것이 바로 그 작품이다.
현재 백화점이 들어선 저곳은 본래 오래전부터 고속버스 터미널이 위치해 있는 곳인데, 저 작품에 들어간 오브제는 모두 폐차 된 버스들에서 추출한 바퀴의 축들이다.
고속버스를 타고 다니던 수많은 군상들의 애환이 이 바퀴 축에 내재되어 있다는 것이 이 작업의 모티프다.
이 작품과 얼마 떨어지지 않은 위치에는 또 한 점의 정크아트가 있다. 아르망 작품은 아니다. 처음에 언뜻 봤을 때는 오리엔탈 느낌의 금속 그릇들이라 아티스트가 우리나라 사람인 줄 알았다.
위에서 열거했던 서구 작품이 대체로 아키텍처럴 뉘앙스의 경직된 선들 일색이었던 것에 비하면 굴곡의 선들로 이루어진 표현이 대조적이다. 이 작품은 인도 출신 작가의 작품이다. 수보드 굽타(Subodh Gupta)라는 아티스트다.
서구 작가들은 직선을 통해서 새로움의 변형을 꾀하는데, 그야말로 폐품 덩어리로 자연스런 굴곡을 잘 유지하고 있다. 그러면서 완성도 있는 새로운 형태를 창조해 내고 있어 인상적이다.
그 외에도 파올로치(Eduardo Paolozzi), 팅겔리(Jean Tinguely), 스탄키에비치(Richard Stankiewicz) 등은 모두 정크아트의 거장들이다.
자 그러면 우리의 슈즈트리로 다시 돌아가서,
작가에게 조형감각이 결여되어 있나… 하는 생각이 들게 만드는데,
아, 이제서야 왜 저런 게 나왔는지 알것 같다.
아마도 이 설치물의 하이라이트는 저 동상인 걸로 보인다. 독립운동가 강우규 상이라고 한다. 아마도 널려진 신발들은 일제 침략에 짓밟힌 선조들을 표현하려고 한 것 같다. 그런데 문제는 신발 무더기를 저기까지 끌고 가려니…이게 무슨 조형물도 아니고 익스테리어도 아니고… 저렇게 되어버린 한 원인이다. (일반 언론에서는 요 부위가 잘 스크랩되지를 않고 있다. 왤까ㅡ)
강우규라는 이름은 생소하다. 우리에게 그동안 왜 잘 알려지지 않았을까? 뒤늦은 2011년에 세워진 이 동상의 주인공에 관한 다음 인용문을 읽어볼 만 하다.
6명은 대체로 소기의 목적(조선총독 살해 등)을 달성하지 못했다. 일부의 경우, 민간성격 시설(은행, 회사 등)을 향해 무차별 폭탄을 투척한 경우로서, 불발이 아니었다면 무고한 민간 피해가 발생하게 되는 상황이었다. 실제, ‘김상옥'(의열단)의 경우, 민간 피해를 발생시켰고, 서울역 폭탄 ‘강우규’의 경우도, 일반군중 피해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 ‘김시현'(의열단)의 경우, 민간시설(은행, 신문사, 전력회사)까지 폭탄 공격을 하고자 다량의 폭탄 반입을 시도했던 상황이다.
결국 이들 사례를 종합하면, 이들의 행동들은 사실상 급진좌파들의 전통적 수법(사회혼란 유도)과 거의 다를 바 없다. 목적달성을 위해 무고한 민간의 희생을 가볍게 여기는 일부 사례를 통해서는 급진좌파들의 전형적 수법(수단방법 안가리기)까지 엿볼 수 있다.
‘의열단’의 성격은, 급진좌파 사회주의다. 2016.9.25일 국내언론(세계일보)는 <영화 ‘밀정’ 본 당신, 서울에서 항일의거 흔적을 찾아보자>라는 기사를 통해, ‘의열단’의 행동을 치켜세운 바 있다. ‘김익상’, ‘김상옥’, ‘나석주’, ‘김시현’ 의열단 소속외에, 의열단 소속 여부가 불분명한 ‘강우규’, ‘송학선’ 등 6명을 주로 소개했다.
출처: chogabje.com
어떤 독립투사는 일찍부터 우리에게 알려져 있고, 어떤 독립투사는 뒤늦게 알려지는 데에는 이념적 이유가 따로 있는지 언급하기 섣부르지만, 어쨌든 공교롭게도 이 작품은 이 동상으로 연결짓고자 무리를 하는 바람에 더욱 당혹스런 조형물이 되고 말았다.
예술 작품에 이념이 산입되면 예술로서 의도는 틀어지기 마련이다.
이상 이 작품이 쓰레기처럼 보이는 실질적인 이유는 다음 3가지로 집약할 수 있다.
1. 낮은 예산 책정
비용이 총 1억3000만원이 들었다고 한다. 사람들은 비싸다고 하는데, 이 가격은 작가로 하여금 오브제를 신발로 택하게 만든 원인이 되었을 것이다. 값싸고 지저분한 플라스틱 신발.
2. 신발의 정체성
‘슈즈트리’ 라고 해놓고 대체 웬 독립투사인지.
그럼 죄다 고무신으로 하든지.
3. 작가의 조형미 결여
그리고 이 작품을 보고 작가의 조형감각이 참 결여되었다 생각했는데, 프로필을 보고 이해 하게 되었다. 다음은 정원디자이너 및 환경미술가로 프로필 기재된 작가 황지해의 대표작이다.
그녀는 해우소(변소)를 아름답게 꾸밈으로써 세계적인 작가가 되었던 것이다….
진중권 교수가 “예술은 왜 꼭 예뻐야 한다고 생각하냐, 흉물도 예술이 될 수 있다”고 말하였으나, 예술은 아름다운 것을 흉물스럽게 가꾸는 게 아니라, 흉물스러운 것을 아름답게 만드는 것이 바로 예술이라는 말을 해주고 싶다. 저 변소처럼.